본문 바로가기
운동

어깨 회전근개와 어깨충돌증후군의 모든것(구분법, 증상,통증발생이유)

by 다도니♡ 2024. 1. 18.
반응형

 

 

잘못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해 나쁜 자극이 쌓이거나 운동을 안 하다가 갑자기 과하게 하면 어깨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어깨통증에 이해를 돕기 위해서 어깨를 둘러쌓고 있는 회전근개와 어깨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어깨충돌증후군의 증상과 통증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회전근개( Rotator cuff)

극상근(supraspinatus) =가시위근

가시위근 혹은 극상근은 어깨뼈위쪽 부분에서 시작하여 위팔뼈의 대결절까지 이어지는 등 위쪽의 작은 근육이다. 극상근(가시위근)은 삼각근(어깨세모근)과 함께 외전(abduction)시킨다. 팔을 벌릴 때 15도 이하의 좁은 범위에서는 극상근이 주동근으로 작용하고 15도 이상일 때는 삼각근(어깨세모근)이 주동근이 된다.

또한 극상근은 회전근개의 구성근육으로써, 위팔뼈의 머리를 안쪽의 관절오목 쪽으로 당겨 회전근개를 안정시킨다. 회전근개 근육증에서는  이 근육이 단독으로 작용함으로써 위팔뼈의 머리가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근개 파열 시 가장 많이 손상되는 근육이기도 하다.

 

▷대결절(greater tuberosiy, GT)

어깨 회전근개힘줄이 붙는 부위이기 때문에 어깨에서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다, 회전근개 중 극상건, 극하건, 소원근이라는 회전근개 힘줄이 부착되는 부위이기 때문에 , 대결절에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회전근개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팔을 들어 올리거나 회전하는 등의 움직이는 동작이 어려워질 수 있다.

 

 

극하근(infraspinatus) = 가시아래근

극하근
극하근

 

 

극하근은 내측에서 견갑골 극하와에 부착되어 있고, 외측으로 상완골 대결결의 중간변에 부착되어 있다, 근육은 근하화의 내측 2/3 지점에서 육 섬유( fleshy fiber)로 시작하며, 극하와의 표면에서 융기들로부터 건섬유들로부터 시작된다. 또한 극하근을 덮는 극하근막(infraspinatous fascia)에서도 시작되며 대원근과 소원근으로부터 분리된다.

극하근은 어깨 외회전( external rotation ) 근육이며 팔이 고정된 상태에서 견갑골 하각을 내전(adduction) 시킨다. 협동근은 소원근과 삼각근이다. 극하근과 소원근은 상완골두를 외회전 시킨다. 또한 팔을 뒤로 젖히는데도 도움을 준다.

 외회전(external rotation, extorsion, lateral rotation)

신체 중심으로 부터 멀어지는 회전 운동을 한다는 의미의 해부학적 용어이다. 이러한 운동을 하는 근육을 외회전근( external rotator )이라고 한다.

 

소원근(teres minor)
소원근(teres minor)

소원근(teres minor) =작은 원근

소원근(작은 원근)은 회전근개의 가늘고 긴 근육이다. 좌측 혹은 우측 견갑골 외측연과 인근후방표면에서 시작하여 상완골 (humerus) 대결절과 관절낭(joint capaule)  후방표면에서 만입된다.

주된 기능은 팔을 외전 할 때 상완골두의 위로 미끄러지는 것을 막음으로써 삼각근의 활동을 조절함, 또한 상완골을 외회전 시키는 기능을 한다.

 

 

견갑하근(subscapularis)
견갑하근(subscapularis)

견갑하근(subscapularis) = 어깨밑 근

견갑하근(어깨밑근) 은 어깨뼈에서 일어나 위팔뼈에 닿는 세모꼴의 근육으로 회전근개들 중 하나이다.

주로 위팔을 안쪽으로 돌리면서 모으는 역할을 주로 하는데, 위팔을 벌리는 삼각근(어깨 세모근)이나 극상근 그리고 위팔의 가쪽돌림을 일으키는 극하근이나 소원근과 대항근이다. 이렇게 다른 회전근개 근육들과 대항근이지만 견갑하근 역시 다른 회전근개 근육들과 함께 위팔뼈를 어깨관절에서 고정시키고 안정하게 한다.

 

어깨구조
어깨구조

 

어깨회전근개
어깨 회전근개

어깨 구조

어깨 관절은 위팔뼈(상완골), 어깨뼈(견갑골), 빗장뼈(쇄골)가 만나 관절을 이루고, 4개의 근육(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과 힘줄로 회전근개를 형성합니다. 어깨 뒷부분에 위치한 견갑골에서부터 시작된 근육이 힘줄로 바뀌어 위팔뼈에 단단히 고정됩니다.

어깨충돌 증후군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 힘줄인 회전근개가 바로 위쪽에 있는 견봉이라는 뼈와 부딪치면서 염증이 생겨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팔을 들어 올리거나 어깨 회전운동을 할 때 통증이 심해져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게 된다. 어깨를 움직일 때 봉아래에서 삐걱거리는 소리가 들리고 통증이 나타난다면 어깨 충돌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 특히 팔 들어 올리기 힘들어 옷을 입을 때나 샤워할 때 불편함을 느끼고 어깨 부위통증이 대부분이지  팔과 뒷목까지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근육량이 많은 남성보다 근육량이 적은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

어깨 충돌증후군 구분법

대개 오십견과 어깨 충돌증후군을 헷갈려하시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를 방치해서 더 많은 통증을 소호 하게 된다. 오십견과 어깨충돌 증후군을 구분할 수 있는 구분법 알아보자

오십견은 스스로 팔을 올려도 안 올라가고 다른 사람이 팔을 올려줘도 안 올라간다. 

어깨 충돌증후군은 스스로 팔을 올렸을 때 안 올라가지만 다른 사람이 팔을 올려줄 때는 올라간다.

 

어깨 충돌 증후군 자가테스트

 

견봉뼈는 왜 튀어나오나요?

 

회전근손상과 관련된 질환이어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어깨를 구성하고 있는 견갑골 위에 견봉과 팔뼈가  서로 자극되는 것을 말하는데 견봉아랫부분에 뼈가 많이 튀어나와서 견봉아랫부분과 자꾸 마찰이 생겨서 마모되고 회전근손상까지 오게 되는 걸 말한다.

 

어깨 충돌증후군의 증상들

나이가 들어가면서 퇴행성 변화로 뼈가 울퉁불퉁하게 변한다.

팔을 들어 올릴 때 견봉과 견갑골 앞쪽에 있는 오구 돌기를 이어주는 오구 견봉인대를 자꾸 자극되어 통증이  발생한다.

 선천적으로 견봉이 갈고리처럼 튀어나온 사람(40%)이 있는데 이런 모양의 견봉은 회전근을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회전근개파열을 야기한다.

   

▷오구돌기

견갑골 위쪽의 견갑골흔 바깥쪽에 약간 앞쪽으로 향한 돌기까마귀의 부리와 같은 겉모습을 하고 있어 이 이름이 붙여짐.

 

마무리

쓰다 보니 하고 싶은 말들이 많아지네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어깨충돌증후군 자가테스트와 어깨 충돌 증후군에 좋은 운동 포스팅 하도록 할게요. 삶의 질의 좌우하는 통증에서 벗어나는 날까지 운동합니다.

 

 

 

 

반응형

.myButton { background-color:#44c767; border-radius:32px; border:1px solid #18ab29; display:inline-block; cursor:pointer; color:#ffffff; font-family:Arial; font-size:17px; padding:25px 39px; text-decoration:none; text-shadow:0px 1px 0px #2f6627; } .myButton:hover { background-color:#5cbf2a; } .myButton:active { position:relative; top:1px; }